분류 전체보기(769)
-
21. 전원주택을 짓기에 좋은 땅!
도시생활에 지친 사람들은 누구나 한 번쯤 자연과 함께 어울려서 사는 전원생활을 꿈꾼다. 많은 사람들은 정년 이후 노후를 전원주택에서 보내고 싶어 한다. 하지만 단순하게 공기 좋은 시골에 주택을 짓고 사는 것이 전원생활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전원주택을 짓기 위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좋은 땅을 찾는 것이다. 도시에서는 집이 불편하거나 입지가 좋지 않으면 이사를 가지만 전원주택은 쉽게 이사를 갈 수가 없다. 전원주택용 토지를 매입하기 위해서는 토지 주변의 지리적 요건을 잘 살펴야 하는데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이나 배산임수 조건을 갖춘 지역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입지적으로 좋은 조건의 토지는 가격대가 높은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너무 자연경관에 치중하다 보면 주택을 짓는데 적합하지 않은 ..
2019.12.24 -
20. 건폐율과 용적률
많은 사람들이 땅을 사면 그 위에 건축물을 짓고 싶어 한다. 건축물을 올리기 위해서는 나라에서 정한 규제에 맞게 건축을 해야 하는데 그 규제가 바로 건폐율과 용적률이다. 한마디로 건폐율이 높을수록 좋다. 건폐율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 건폐율은 대지 위에 최소한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건축물의 과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일조량 , 채광량 , 통풍을 위한 공간을 둬서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각종 재해 발생 시에도 소화 , 피난 등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선 건폐율은 중요하다. 반면 용적률은 건축물의 지하층을 빼고 남은 지상층의 면적 비율이다. 즉, 얼마만큼 건물을 올릴 수 있는지 그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용적률은 비율이 높을수록 건물을 높게 지을 수가 있고 층수가 많아질 수 있다...
2019.12.23 -
로또 890회 당첨번호
1장 01 06 10 14 32 36 04 08 11 12 23 24 05 10 14 21 31 39 03 07 20 28 31 45 07 09 10 21 37 39 2장 01 04 16 25 40 45 02 04 06 12 36 38 06 12 26 28 29 43 13 16 20 28 37 39 13 14 19 23 35 45 18번 빼고는 생각한 숫자 다 나오긴 했는데 조합이 실패네요~ ㅜㅜ
2019.12.23 -
19. 못생긴 땅은 성형이 가능하다?
1. 성토와 절토란? 성토는 지반 위에 흙을 쌓는 것을 말한다. 충분히 해야 지반 침하나 붕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절토는 평지나 경사면을 만들기 위해 흙을 깎아내는 것을 말한다. 보통 절토를 이용해 농지로 만들거나 전원주택을 건축한다. 실제로 땅을 매입해서 성토나 절토작업을 하는 사람은 드물다. 꼭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진행한다. 사람의 얼굴을 아름답게 만드는 성형수술이 있듯이 땅도 성형을 통해 가치를 올릴 수 있다. 2. 어떤것이 더 저렴한가? 저렴한 걸로 따지면 절토가 더 저렴하다. 절토를 하면 발생하는 흙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반대로 생각하면 성토는 흙을 사야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든다. 참고로 흙을 많이 필요로하는 지역이라면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만금 이라든지..
2019.12.22 -
18. 맹지에서 탈출하면 돈이 된다.
맹지란? 바로 진입로가 없는 토지를 말합니다. 실제로 답사를 해보면 걸어서는 진입이 가능해 진입로가 없는 땅이지 쉽게 파악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토지투자의 전형적인 실패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지도"도 보지 않고 계약한 토지가 대부분 맹지였던 사례가 많다. 내 땅에 진입할 때 남의 땅을 거쳐서 지나와야 한다면 100%로 맹지다. ~~~~~~~폐구거~~~~~~~ 1.맹지 2.악성맹지 -----------------------------------------------------------------도로---------------------------------------------------------------- 2번 악성맹지의 경우 가망이 없지만 1번 맹지의 경우 폐구거를 도로로 바꾼다면 맹지에서 탈..
2019.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