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80)
-
15. 연 12% 고수익 부동산
전세난의 장기화로 너도 나도 집 사자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 매매가 활발해 지면 경매물건은 갈수록 줄어들고 입찰경쟁률은 더욱 치열해진다. 부동산경매를 통해 내집을 마련해야 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정부지원 부동산제도 , 일반매매 , 급매 등을 통해 내집을 마련하자. 1. 고수익 보장? 소액투자자 길거리를 걷다 보면 "연 12% 수익률 보장! 또는 고수익 보장" 이라는 광고를 볼 수 있다. 은행금리도 2% 수준에 불과한 초저금리 금융 환경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연 12% 수익이라니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될거라 생각한다.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하거나 고급빌라를 분양 받거나 토지를 공동으로 매입해 개발을 하면 고수익 보장을 한다거나 대표적인 부동산 광고의 내용인데 이게 사기인지 진짜인지는 ..
2019.11.07 -
14. 펀드 수수료 , 보수
1. 수수료 상담을 하면서 반드시 물어봐야 하는 사항이다. 왜 수수료가 있는지 의문을 가질수도 있는데 "펀드는 여러사람의 돈을 모아 전문가가 대신 투자해 주는 금융상품이다" 또한 운용구조는 판매회사 , 자산운용회사 , 수탁회사가 연결되어 본인의 역활을 수행해 내고 있다. 이곳은 자산사업가가 아니다. 세상에 꽁짜는 없다. 일부 사람들은 푼돈이라 생각해 아깝지 않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10년 이상 투자한다고 생각할때 이 비용이 과연 푼돈일까? 2. 펀드비용 비용에는 수수료와 보수가 있다. 수수료 (한번만 내는 비용) 판매수수료 선취판매수수료 : 가입시 내는 비용 후취판매수수료 : 환매시 내는 비용 환매수수료 : 환매를 일찍 할때 내는 수수료 (90일 이내 환매 시) 보수 (정기적으로 내는 비용) 판..
2019.11.06 -
13. 펀드 운용구조 파악하기
1. 펀드가입! 어디서 해야 하나? 적금 가입하려고 했다가 은행직원의 권유로 ~ 직장 근처에 있는 수익률 좋다는 증권사에서 ~ 친척이 보험사를 다녀서 ~ 대부분 은행 , 증권사 , 보험사를 통해 펀드를 가입한다. 과연 어디서 가입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여기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선 펀드 운용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 펀드에 가입하면 판매회사는 투자금을 수탁회사로 보낸다. 그리고 자산운용회사에서 펀드를 어떻게 투자하고 운용할지 결정해서 지시를 내린다. 투자금은 지시에 따라 주식 , 채권 , 부동산 등을 사고 팔면서 투자하게 된다. - 판매회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펀드를 설명하고 가입시키는 회사 - 자산운용회사는 펀드매니저들이 소속되어 있는 회사 - 수탁회사는 펀드자금을 맡아두고 운용하는 회..
2019.11.05 -
12. 알쏭 달쏭 펀드의 종류
펀드에 가입하려 하는데 어떤 종류가 좋을까요? 펀드의 펀 자도 모르는데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 ? 이게 무슨 뜻일까요? 펀드는 투자 대상에 따라 증권 , 부동산 , 실물 , 파생상품 , MMF , 재간접 펀드로 구분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증권펀드이며 대부분 사람들이 가장 많이 투자하는 펀드이다. 펀드 증권 주식 , 채권에 투자 부동산 부동산에 투자 실물 선박 , 석유 , 금 등 실물자산 파생상품 선물 , 옵션 MMF 단기금융 재간접 다른 펀드에 투자 1. 증권펀드의 3가지 종류 a. 증권펀드 주식에 60%를 투자! 주가상승에 따른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경우 손실을 보게 될 위험도 크기 때문에 고수익과 고위험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위험이 크다고 해서 기피할 ..
2019.11.02 -
11. 펀드 실체 이해하기
1. 펀드의 장점과 단점을 알고 시작하자. 펀드는 예금보다 수익은 높고 주식보다 안전하니 재테크 1년차에게 권하고 싶은 투자 종목이다. 하지막 막상 펀드를 투자하려고 하면 막막한게 사실이다. 펀드라는 것은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공부하는게 힘들다. 일단! 펀드란? 여러사람의 돈을 모아서 전문가가 대신 투자해 주는 금융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펀드의 장점은 투자해서 발생한 수익금을 수익이 나는 만큼 투자자에게 돌려 준다. 단 펀드의 단점은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펀드가 투자한 주식 , 부동산 , 금 등이 갑작스럽게 하락할 수 있으며 금리가 상승할 경우 펀드가 투자한 채권의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 이런경우 당연히 원금손실이 발생한다. 결국 원금손실을 극도로 꺼리는 사람이라면 안하는 것을..
2019.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