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69)
-
02. 논 , 밭 어디에 투자할까?
어디에 투자하든 돈이 되는 곳에 투자하는 것이 정답이다. 간혹 논과 밭의 차이점을 모르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논은 물이 채워져 있는 형태이고 밭은 물이 없다. 토지를 투자하는데 이런 걸 알아야 하나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토질의 성격이나 그 활용법을 알고 있다면 투자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집을 짓는다고 가정할 때 밭이 건축하기 더 수월하다. 논은 땅이 꺼져있다. 투자의 1순위는 당연 밭이다. 그러나 모든 투자가 그렇듯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논이 밭보다 투자 가치가 높은 이유 중 하나는 농림지나 생산녹지일 가능성이 높다. 농업진흥구역인 경우는 가치가 낮아 주의해야 한다. 생산 농지와 절대농지의 구분은 토지이용계획 확인원을 봐야 알 수 있다. -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 http..
2019.11.28 -
01. 농지를 사면 좋은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지 투자가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농지법 개정으로 농지 소유에 대한 규제 완화되었고 농민이 아니어도 농지를 구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우리나라 농지법상 농지를 소유한 사람은 농지를 경작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1. 농취증 농지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농지취득 자격증이 필요하다. 나는 농사를 짓지 못하기 때문에 엄두가 나지 않을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발급받기 수월하다. 보통 농취증은 농업경영계획서가 첨부된 농지취득자격증면 신청서를 작성해 관할 지자제에 신청해야 하지만 주말농장이나 체험농장의 경우에는 농업경영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가끔 농취증 발급을 위해 찾아간 지자체에서 농취증을 내주지 않고 버틸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농림축산 식품부 농취증 담장자에게 ..
2019.11.27 -
31. 연말정산 체크사항
누구나 매년 연말정산을 하며 한 푼이라도 세금을 돌려받길 원한다. 물론 아는만큼 돌려받을 수 있다. 반드시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예를 들어 A는 50만 원 B는 200만 원을 돌려받았다고 할 때 대부분 사람들은 B가 많이 돌려받았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B는 단순히 신용카드를 더 많이 사용했고 내는 세금을 더 많이 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은것 뿐이다. 눈에 보이는 세금을 더 많이 돌려받았다고 해서 부러워할 필요는 없다. 연말정산을 잘하는 사람은 남들이 놓친 공제항목을 잘 찾아냈고 공제 혜택이 많은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준비한 사람이다. 1. 개정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자. 매년 연말정산 일부 항목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개정되고 있다. 어떤 공제가 신설되고 폐지되었는지 개정..
2019.11.26 -
30. 세액공제 종류
1. 근로소득세액공제 근로소득세액공제는 산출세액 (과세표준*기본세율)에 일정 비율을 곱한 금액만큼을 공제해 주는 것이다. 구분 근로소득세액공제액 130만원 이하 산출세액 * 55% 130만원 초과 715.000원 + (산출세액 - 130만원) * 30% 공제한도 총 급여기준 3.300만 원 이하 : 74만 원 4.300만 원 이하 : 66 ~ 74만 원 7.000만 원 이하 : 66만 원 7.000만 원 초과 : 50 ~ 66만 원 2. 자녀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는 기본공제 대상자인 자녀에 대해 일정 금액을 산출세액에서 공제해주는 것이다. 구분 자녀세액공제액 기본공제받는 자녀 (입양자 및 위탁아동 포함) 금액 1명 : 15만 원 2명 : 30만 원 3명 이상 : 1명당 30만 원 2019년 귀속부터 만 6..
2019.11.25 -
29. 소득공제 종류
1. 인적공제 구분 내용 기본공제 본인 , 배우자 , 부양가족 중 1명당 150만원씩 공제 추가공제 장애인 , 경로우대자 , 한부모 , 부자녀(근로자 본인) a. 기본공제 본인 , 배우자 , 부양가족의 경우 1명당 150만원씩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특히 부양가족 대상은 직계존속 (나를 세상에 있게 해준 부모 , 조부모 등) , 직계비속(나로 인해 세상에 있게 된 사람들 자녀 , 손자, 손녀 등) , 형제자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 위탁아동(나이 , 소득 , 동거) 충족해야만 공제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대부분 기본공제 항목에서 회사원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과다공제와 중복공제다. 본인을 제외한 기본공제 대상자의 연간소득은 1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연간소득은 종합..
2019.11.23